야외화장실에 대해 자주 묻는 질문에 대한 7가지 답변

농작물 재배·수확에 대부분인 일손이 동원되는 제주 농경지 주변에 간이(이동식) 화장실이 설치끝낸다.

image

제주도는 농경지에 간이 화장실을 설치, 관리하고자 하는 농업인의 요청을 읍면동사무소에서 다음 달 6일까지 받는다고 30일 밝혀졌습니다.

도는 요청 농업인의 농경지 주변 500m 이내에 화장실을 임시로 쓸 수 있는 시설물이 없는 등 일정 조건을 충족하는 40곳을 선정할 방침이다.

수많은 농가와 공동 사용 조건을 승낙한 농업 경영주, 여성 트레일러화장실 농업인을 우선 지원할 방침이다.

지원 돈은 간이 화장실, 악취 억제제, 운송비 등 전체 구입비의 40%가량이다. 간이 화장실 설치비는 업체별로 900만∼500만원 가량이다.

간이 화장실은 8년간 설치할 수 있을 것입니다. 화장실 청소, 분뇨 수거 등은 운영자가 해야 할 것이다.

제주도 지인은 ""농작업 현장에 화장실이 없는 경우 먼 거리 화장실을 찾아 헤매거나 농경지 내에서 비위생적인 방법으로 해결할 수밖에 없다""며 ""특히 주변을 가릴 수 없는 농경지에서는 남성 농업인들이 난감한 상황에 부닥치고 있습니다""고 취지를 설명했었다.

강원, 충북 등 다른 지역에서도 농경지 화장실 설치 지원이 이뤄지고 있다.

제주에서는 지난해 여성 농업인모임이 이 산업을 https://www.washingtonpost.com/newssearch/?query=이동식화장실 공식 제안했었다.

제주도는 농경지에서 가설구조물 축조 신고 없이 농지의 다른 용도 일시 사용 허가만으로 7년간 화장실을 설치·운영할 수 있게 하였다.

강재섭 제주도 농축산식품국장은 ""농업인들이 보다 위생적인 배경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돕자는 취지""라며 ""농경지 작업 중 보이는 다른 열악한 환경도 밝혀내 개선할 수 있게 지원하겠다""고 이야기 했다.